호치민 월세 계약 알아둘 사항 / 주의사항

베트남 호치민 월세 계약 알아둘 사항과 주의사항입니다. 지역별로 월세 계약에 대한 내용은 다릅니다. 베트남에서 거주를 하는 데에 집을 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볼 수 있는데요. 베트남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은 보통 고급 빌라나 아파트 등을 많이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외국인이 베트남에 와서 부동산을 매매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월세를 계약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호치민 장기 거주를 위해 월세 계약을 준비 중이시라면 간단한 정보들을 미리 알고 계약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호치민 월세 계약 알아둘 사항

보증금

베트남 호치민에서는 아파트, 빌라 등의 월세를 계약할 때는 일반적으로 월세의 2배되는 금액을 보증금으로 지불합니다. 보증금은 보통 디파짓(Deposit)이라고 부르는데요.

예를 들어 월세가 1천만동이라면 2천만동을 보증금으로 맡겨두는 것이죠. 따라서 첫 계약에는 첫달 월세 1천만동 + 보증금 2천만동 해서 3천만동이 나간다는 계산을 하면 됩니다. 월세는 특별한 사항이 아닌 한 선불로 냅니다.

보증금은 계약이 만료되면 돌려받는 돈입니다. 향후 집 주인이 계약 만료로 집에 하자나 문제가 있다하면 보증금에서 제외하고 돌려 받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보증금에 문제가 없도록 집은 가급적이면 깨끗히 원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집을 임의로 수리하거나 인테리어를 과하게 하는 경우에는 원상복구하는 데에 보증금을 못 받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추가적으로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계약기간

베트남 호치민의 월세 계약 기간은 보통 아파트와 같은 곳은 1년 단위로 계약을 진행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1년 단위보다 길 수도, 짧을 수도 있습니다. 상황을 설명하고 집주인이 동의한다면 6개월이 될 수도 2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어느 정도 유도리 있게 진행할 수 있는 사항입니다.

계약 기간 중 중간에 퇴거를 해야한다면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퇴거해야하는 사정을 잘 설명하면 보증금의 일부라도 돌려주는 좋은 집주인도 있기도 합니다.

월세 대금 지불

월세 대금 지불은 일반적으로 베트남동(VND)을 기준으로 잡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미국 달러로 계약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달러를 기준으로 잡는 경우에는 환율을 맞춰서 베트남 동으로 주거나 해야 합니다.

만일 한국인이 집주인이라고 한다면 원화로 송금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 집주인일 때는 이런 점은 정말 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계약에 따라서 지불하는 화폐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달러가 강할 때와 약할 때 잘 생각해서 이 부분은 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호치민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 계약은 부동산에서 할 것.
  • 계약서는 정독할 것.
  • 가능하다면 현지인과 동행.
  • 하자에 대한 수리 요구

주의사항 첫째로 부동산에서 하는 것인데요. 집 계약은 당연히 부동산에서만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싶겠지만, 베트남에는 부동산을 하는 업자들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나 페이스북, 잘로와 같은 곳에서도 임대를 한다는 사람들을 아주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부동산 업자가 아님에도 부동산과 손님을 연결해주면 중간에서 커미션(소개비)를 받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지 부동산이든 한인 부동산이든 정상적으로 업장이 갖추어져 있고 사업이 제대로 영위되고 있는 곳에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약서는 사실 베트남어가 유창하지 않으면 모든 내용을 읽고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영문 번역본이라도 달라고 하여 계약서를 한 번은 쭉 읽어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점에서는 한인 부동산 업체들이 편리하기는 합니다.

만일 현지 업체와 계약을 한다고 한다면 가급적이면 도와줄 수 있는 현지인과 동행하는 것이 여러모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에 문제가 발생하면 한국과 마찬가지로 집주인이 수리를 해주거나 도움을 줘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거주 중에도 부동산 업체에서 이 부분을 많이 케어해주는 문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집에 하자가 있다면 부동산 업체에 연락을 하거나 집주인에게 연락을 해서 수리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관심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