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면허증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리핀에 장기 체류하는 분들 중에서는 차량, 오토바이 등을 운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서류를 가지고 운행을 해야하는데요. 혹여라도 걸리면 무면허 운전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무면허로 걸리면 3,000페소 정도라고 합니다.
한국에서 발급받은 종이로 된 국제 면허증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는 유효기간이 1년이며, 필리핀 현지에서 갱신이 안되고 한국에 가서 면허시험장 등에서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더욱이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여권을 함께 항상 소지해야 신분 증명이 가능하다는 부분이 있습니다. 사실상 해외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 1위인 여권을 매번 외출할 때마다 들고 다니기에는 리스크가 있죠. 그렇기에 한국 면허증을 통해서 필리핀 면허증을 발급 받게 되면 훨씬 편리하게 필리핀 생활을 할 수가 있습니다. 아래 발급 받는 과정을 찬찬히 쭉 읽어 보시고 한 번 발급받아보시길 바라요.
필리핀 면허증 발급 요건
우선 어떤 사람이 한국 면허로 필리핀 면허를 받을 수 있는지 그 자격 요건을 알아보겠습니다. 발급 시점에 필리핀 체류 기간, 비자 잔여 기간이 관계가 있는데요. 하지만 아쉽게도 거의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행정 처리가 되는 한국과는 달리, 필리핀은 지역별로 기준이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차이가 약간씩 있어 현지 LTO 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략적인 기준으로 가장 중심인 수도 마닐라 지역에서의 발급 요건을 보고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 필리핀 체류 90일 이상
- 잔여 비자 기간 6개월 이상
- ACR 카드 필요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앞서 언급한대로 지역별로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마닐라는 현재 최근 필리핀 입국일이 3개월이 지나야 하지만 1개월인 지역도 있습니다.
관광 비자를 기준으로 현재 남아있는 비자 기간이 6개월이 필요합니다. 필리핀은 관광 비자 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2달씩 3번 연장하면 잔여 비자 기간이 6개월이 되니, 가급적 비자 연장 이후 지체없이 발급을 진행하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면허증 대행 업체를 이용하면 1달만 남아있는 분들도 필리핀 면허를 받은 케이스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ARC 카드는 외국인 거주 확인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리핀 입국 후 60일 이상 거주자에 한해 필리핀 이민국에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바로 앞에 말한 관광비자 연장 시에, 발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자 연장할 때 같이 준비하면 됩니다.
이렇게 3가지 조건을 갖추면 이제 필리핀 면허증을 신청할 자격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한국 면허증-필리핀 면허증 발급 과정
발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 면허증 공증
- LTO 포털 사이트 등록 및 클라이언트 넘버 발급
- 건강 검진(간단함)
- 현지 LTO 방문 서류 제출 및 신청
- 영어 인터뷰
- 지문 스캔 및 사진 촬영
이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는데요. 과정을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국 대사관, 영사관에 방문해서 영문 번역 공증을 받아야합니다. 운전 면허증 뒷면에 영문 면허증을 받은 경우에는 이 공증 과정이 필요없다고 하더라고요. 물론 여권은 지참해서 가야합니다.
그리고 LTMS 포털 사이트에 회원 등록을 합니다. 그러면 등록 시 입력한 이메일로 클라이언트 넘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걸 핸드폰으로 캡쳐해 찍어두거나 메모해두세요.
이제 현지에 LTO(Land Transportation Office)에 방문합니다. LTO는 구글 지도에 검색을 해보면 상당히 많습니다. LTO는 필리핀 교통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점마다 업무가 다르고 운영 시간이 다릅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Driver’s License Renewal Center 의 경우에는 갱신 업무만 보기 때문에 필리핀 면허를 새로 발급 받으려는 사람이 가는 곳이 아닙니다. 본청이나 사무소(LTO District Office), 출장소(LTO satellite office)를 가야합니다.
위 지도는 마닐라에 있는 본청의 위치 입니다.
그러면 LTO 앞에 메디컬 테스트를 하는 곳이 많이 있어요. 업자들도 많고 삐끼들도 많이 있습니다. 어딜 가도 다 거기서 거기니 적절한 곳에 가서 건강 검진을 합니다. 혈압, 키, 몸무게, 시력, 색맹 검사 등등 간단한 체크이니 크게 걱정하실 부분은 없습니다. 검진 후 테스트 종이도 챙기시고요.
이제 LTO 민원실로 가서 한국 면허증을 필리핀 면허증으로 바꿔달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준비된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제출하는 서류를 다시 한 번 체크해보면,
필리핀 면허증 발급 필요 서류
- 여권
- 한국 면허증-공증한 경우 공증서도 함께
- 비자연장 확인서 및 영수증
- ACR 카드
- 메디컬 테스트지
- 클라이언트 넘버
이렇게 6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접수가 끝이 나면, 영어 인터뷰가 진행됩니다. 영어 인터뷰는 매우 간단한 수준으로 방문 목적, 종교 등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이니 솔직하게 답변하면 됩니다. 인터뷰가 끝나면 이제 수수료를 지불하고 사진 촬영 및 열 손가락 지문 스캔을 하고 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됩니다.
기다리면 금방 면허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련의 과정에서는 중간 중간 수수료가 나갑니다. 한국 면허증 공증을 받을 때, 메디컬 테스트를 할 때, 인터뷰하고 면허증 발급 받을 때 한국돈 4-500페소 내외의 금액이 나가니 소액의 수수료가 나갑니다. 그렇다고 크게 무리가 되는 금액은 아니니 수수료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소액이 필요하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필리핀 면허증 교체 소요 기간
면허증 발급 소요기간은 확인할 수 있듯, 서류만 준비가 끝났으면 당일 바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류 발급 과정, 체류 요건 등을 생각하면 금방 서류 준비만 끝내면 받을 수도 있고 체류 기간이 부족하면 더 오래 걸릴 수 있겠죠. 서류가 준비가 되었다면 바로 그날 아침부터 부지런히 움직이면 당일 발급이 됩니다.
필리핀 면허증 유효 기간
일반적으로 5년 짜리 필리핀 면허증을 받는데요. 그러니 유효기간은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플라스틱 면허가 아닌 종이 면허증이 아직도 있는데, 플라스틱 면허야 크게 상관없지만 종이로 받았다면 코팅은 하는 게 좋습니다. 면허증이 있다고 하더라도 안 들고 다니면 무면허랑 똑같은 적용을 받습니다.
이렇게 발급 받은 면허증은 만료 2개월 전부터 갱신이 가능합니다. 갱신할 때는 건강검진, 수수료 등을 지불하고 처음보다 간소하게 갱신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볼만한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