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여행 시기 추석은 어떨까?

베트남 여행 시기가 추석인 분들은 한 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의 최대 명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추석-한가위는 아시아권 여러 국가들이 기념하는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도 설날-뗏 은 최대 명절이라는 부분은 많이 알려져 있는 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베트남에 추석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부분은 없는 것 같습니다. 베트남에 추석에 대해 한 번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트남 추석-공휴일이 아님

베트남에서 추석은 쭝투(Trung thu) 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추석은 공휴일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여행을 하면서 일정 상에 영향을 줄 만한 요소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연휴 기간이기 때문에 해외 여행 계획을 세우기도 좋은 시기입니다.

상대적으로 베트남의 설날인 뗏(Tết) 기간에는 국가 최대 명절이기 때문에 여행 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뗏 시기에는 민족 대이동의 시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호치민, 하노이, 다낭 등의 도심 지역으로 여행을 가는 분들은 생각보다 썰렁한 도시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추석 시기에는 전혀 그런 부분이 없어요.

베트남 추석 기간 날씨

개인적으로는 추석 기간이 베트남에는 날씨도 좋고 여행하기 좋습니다. 베트남의 날씨는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뉘는데요. 한국의 겨울 시기인 건기가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하는데, 건기가 이제 막 시작되는 그런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베트남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방문하는 도시에 따라 날씨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에는 사계절이 존재하는 지역입니다.

베트남의 북부 지역에서는 한국인이 느끼기에는 그리 춥지 않을 수 있지만, 현지인들은 쌀쌀한 가을이 왔다고 말하는 시점인데요. 평균적으로 20-25도 정도의 기온인데, 현지인들은 잠바를 하나씩 걸쳐 입고 다니는 시기입니다. 그러니 하노이를 비롯한 북부 지역으로 여행을 가는 분들이라면 잠바까지는 굳이 챙기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긴 팔 옷은 한 두 개 챙겨가는 게 좋습니다. 물론 추워서가 아니라 햇빛을 가리기 위해서도 긴팔은 필수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호치민을 비롯한 남부 지역의 경우에는 반팔 하나 입고 다녀도 충분히 괜찮을 날씨입니다. 25-30도 정도 기온으로 덥습니다. 우기가 끝나가고 건기가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폭우성 소나기는 종종 목격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비오는-날-스콜성-소나기

갑작스럽게 비가 오더라도 금방 그치는 수준이기에 큰 일정 상에 무리는 없습니다. 골프 여행, 해변가 방문 등등 야외 일정을 소화하는 분들 역시 비가 와도 금방 멈추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우기가 완전히 끝났다고 볼 수는 없는 시점이거든요.

베트남 추석 문화

한국과 마찬가지로 음력 8월 15일이 추석이 되는 날입니다. 베트남도 음력 달력 개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공휴일은 아니기에 현지인들에게는 그 의미가 한국인에 비해서는 상당히 가벼운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추석-길거리

이런 노랑 빨강 느낌으로 추석 용품을 판매하는 곳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추석이라는 게 아예 의미가 없는 날은 아닙니다. 많은 부분에서 중국과 문화적으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추석 역시 의미가 있는 날 중에는 하나라고 할 수 있어요. 이와 비슷하게 한국에서도 단오절과 같은 날은 공휴일은 아니지만, 의미가 있는 날이기도 한데요. 이와 비슷한 정도의 기념일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 추석에 먹는 음식은 월병(Bánh trung thu)입니다.

베트남-월병

추석 시기에는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 한 가지 있는데 Đèn ông sao[덴 옴 싸오]라는 등불입니다.

덴-옴-싸오

보통 이런 별 모양으로 되어있어요.

또한 운이 좋다면 현지에서 사자춤(Múa lân)을 추는 것도 구경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베트남 사자춤

사자춤 추는 게 중국같은 느낌도 납니다. 베트남에서 사자춤은 생각보다 어쩌다 한 번 씩은 공연으로 추석과 같은 시기에는 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굳이 추석이 아니라도 가끔은 그냥 개업하는 가게에서도 사자춤 추는 사람들을 고용해서 가게 앞에서 행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기도 합니다.

비슷한 관심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