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갈로그어 숫자 세는 방법

따갈로그어 숫자 세는 방법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리핀 고유의 언어체계인 타갈로그어(Tagalog)는 필리핀을 자주 방문하는 분들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필리핀은 영어가 공용어이기는 하지만, 공용어로 따갈로그어도 등록되어있는 언어입니다.

필리핀 현지와 접촉을 할 기회가 잦은 분들이라면 따갈로그어 숫자 세는 기본적인 상식은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따갈로그어 숫자 세는 방법

따갈로그어 숫자를 현지어와 한글 발음도 함께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한글 발음으로 정확하게 표현은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자세한 부분은 구글 번역기를 활용해 스피커 부분을 터치하면 현지 발음으로 들어볼 수 있습니다.

0~10까지

숫자현지어발음
0sero세로
1isa이싸
2dalawa달라와
3tatlo따뜰로
4apat아빳
5lima리마
6anim아님
7pito삐또
8walo왈로
9siyam
10sampu삼뿌

그럼 이제 11부터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19

십단위의 숫자를 읽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앞에 라빙(labing) 혹은 라빈(labin) 앞서 배운 1의 자리 숫자를 뒤에 붙여주면 됩니다. 라빙-이 숫자에 따라서 약간씩은 변형이 되는 부분이 있지만, 외국인 입장에서 정확한 발음을 하는 것은 현지인들이 듣기에도 어느정도 감안하고 이해를 하기에 너무 많이 신경을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정확한 발음을 한 번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숫자현지어발음
11labing-isa라빙 이사
12labindalawa라빈 달라와
13labintatlo라빈 따뜰로
14labing-apat라빙 아빳
15labinlima라빈 리마
16labing-anim라빙 아님
17labimpito라빔 삐또
18labingwalo라빙 왈로
19labinsiyam라빈 샴

20 이상 십단위 숫자

20이상 십단위 숫자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따갈로그어발음
20dalawampu달라왐뿌
30tatlumpu따뜰룸뿌
40apatnapu아빳나뿌
50limampu리맘뿌
60animnapu아님나뿌
70pitumpu삐뚬뿌
80walumpu왈룸뿌
90siyamnapu샴나뿌

대략적으로 10단위는 뒤에 -뿌 가 붙어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십의 단위 숫자를 알고 있으면 앞서 11~19 까지 봤던 숫자 체계처럼 한자리 숫자 표기를 뒤에 붙여서 21(dalawampu isa), 35(tatlumpu lima), 99(siyamnapu siyam)등의 숫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100단위 따갈로그어 숫자

100단위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따갈로그어발음
100isandaan이쌍다안
200dalawandaaan달라완다안
300tatlongdaan따뜰롱다안
400apatnaraan아빳나라안
500limandaan리맘다안
600animnaraan아님나라안
700pitongdaan삐똥다안
800walongdaan왈롱다안
900siyamnaraan시얌나라안

백 단위는 -안 형태로 변형이 됩니다. 기본적인 1의자리 숫자 체계를 기억하고 10단위(-뿌), 100단위(-안) 변형되는 형태를 기억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암기를 할 수 있을 겁니다.

1,000 단위 따갈로그 숫자

천 단위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천단위는 -리보 형태입니다.

숫자따갈로그어발음
1,000Isang libo이쌍 리보
2,000Dalawang libo달라왕 리보
3,000Tatlong libo따뜰롱 리보
4,000Apat na libo아빳 나 리보
5,000Limang libo리망 리보
6,000Anim na libo아님 나 리보
7,000Pitong libo삐똥 리보
8,000Walong libo왈롱 리보
9,000Siyam na libo시얌 나 리보

천단위 이상 ~

그 다음으로 만단위, 십만, 백만 단위를 확인해보도록 할게요.

숫자따갈로그어발음
10,000Sampung libo삼뿡 리보
100,000Sandaang libo산당 리보
1,000,000Isang milyon이쌍 밀룐

따갈로그어 기수와 서수

~번째 라는 표현 역시 따갈로그어에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번째(First, Second…)를 뜻하는 순서나 차례를 셀 때는 서수를 이용합니다. 1-10까지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수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읽는 숫자 앞에 IKA(이까)를 붙이면 됩니다.

숫자(기수)서수(-번째)발음
1(Isa)Ikaisa이까이싸
2(Dalawa)Ikalawa이깔라와
3(Tatlo)Ikatlo이까뜰로
4(Apat)Ikaapat이까아빳
5(Lima)Ikalima이까리마
6(Anim)Ikanim이까님
7(Pito)Ikapito이까삐또
8(Walo)Ikawalo이까왈로
9(Siyam)Ikasiyam이까시얌
10(Sampu)Ikasampu이까삼뿌

전체적으로 앞에 ika[이까]를 붙이면 되는데, 숫자 2와 3의 경우에는 앞에 약간의 예외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추가적으로 필리핀에서는 스페인어 숫자 체계도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필리핀에는 참 배울 말이 많네요. 참고하시어 따갈로그어로 숫자를 세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비슷한 관심사의 글